본문 바로가기
Algorithm

[BAEKJOON_1032] 명령 프롬프트(Python)

by ZZANG BAE 2022. 8. 3.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1032

 

1032번: 명령 프롬프트

첫째 줄에 파일 이름의 개수 N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파일 이름이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파일 이름의 길이는 모두 같고 길이는 최대 50이다. 파일이름은

www.acmicpc.net

[문제]

시작 -> 실행 -> cmd를 쳐보자. 검정 화면이 눈에 보인다. 여기서 dir이라고 치면 그 디렉토리에 있는 서브디렉토리와 파일이 모두 나온다. 이때 원하는 파일을 찾으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dir *.exe라고 치면 확장자가 exe인 파일이 다 나온다. "dir 패턴"과 같이 치면 그 패턴에 맞는 파일만 검색 결과로 나온다. 예를 들어, dir a?b.exe라고 검색하면 파일명의 첫 번째 글자가 a이고, 세 번째 글자가 b이고, 확장자가 exe인 것이 모두 나온다. 이때 두 번째 문자는 아무거나 나와도 된다. 예를 들어, acb.exe, aab.exe, apb.exe가 나온다.

이 문제는 검색 결과가 먼저 주어졌을 때, 패턴으로 뭘 쳐야 그 결과가 나오는지를 출력하는 문제이다. 패턴에는 알파벳과 "." 그리고 "?"만 넣을 수 있다. 가능하면 ?을 적게 써야 한다. 그 디렉토리에는 검색 결과에 나온 파일만 있다고 가정하고, 파일 이름의 길이는 모두 같다.

[입력]

첫째 줄에 파일 이름의 개수 N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파일 이름이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파일 이름의 길이는 모두 같고 길이는 최대 50이다. 파일이름은 알파벳 소문자와 '.' 로만 이루어져 있다.

[출력]

첫째 줄에 패턴을 출력하면 된다.

[예제입력1]

3
config.sys
config.inf
configures

[예제출력1]

config????

[예제입력2]

3
c.user.mike.programs
c.user.nike.programs
c.user.rice.programs

[예제출력2]

c.user.?i?e.programs

[예제입력3]

1
onlyonefile

[예제출력3]

onlyonefile

[전략]

  1. 들어오는 입력 값(str)들을 리스트에 집어넣고, 한 문자씩 비교할 수 있도록한다.
  2. 리스트의 n번째 문자열의 j번째에 있는 문자와 과 n+1번째 문자열에 있는 j번째에 있는 문자를 비교하는식으로 진행한다. 이 때, n을 먼저 하나씩 증가시키고, 리스트 내의 마지막 요소까지 비교했으면, j+1 번째 검사를 시작한다.
    ex) ['nike', 'rice', 'mice']의 경우 nike의 n과 rice의 r 비교 -> 다르므로 '?'를 출력할 값에 미리 넣어둠.
    그리고 nike의 i와 rice의 i를 비교 (j+1)-> 같으므로 rice와 mice 비교(n+1) -> i가 같으므로 'i'를 출력할 값에 미리 넣음.
  3. 이렇게 끝까지 완성되면, 출력하도록 함.
  4. 단, 문자열이 하나만 들어올 수 있으므로(첫 번째 입력값이 1), if 문을 통해 미리 걸러지도록 함
    (이 때의 출력값은 들어오는 입력값 자체)

[코드]

[공부한 점]

  • 오늘도 엣지 케이스를 하나 놓쳤었다. -> 1개의 입력값이 들어온 경우.
    문제에 나와있는데도, 놓쳤다. 항상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끝자락, 예를 들어, 입력이 하나이거나, 없거나, 다르거나, 등등.. 이때를 조심하자.
  • for 문 안에 for 문을 넣을 때, 일반적으로 list[i][j] 꼴이면 j를 먼저 돌리고 i를 나중에 돌리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문제의 경우, i를 먼저 for문을 돌리고, j를 나중에 돌려야하는 식이었다. 이 때, 둘의 순서를 바꾸더라도, len()을 이용해서 j의 범위를 잡아줄 수 있었다.
  • break문은 그 break문이 들어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반목문을 깬다. 그 밖의 반복문은 깨지 않는다. 문제 풀다가 잠깐 헤깔렸던 것 같으니, 이 점을 다시 복습했다.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ekjoon] 220807asdf  (0) 2022.08.07
[BAEKJOON 1110] 더하기 사이클  (0) 2022.08.04
[BAEKJOON_1550] 16진수(Python)  (0) 2022.08.02
[BAEKJOON_2061] 좋은 암호  (0) 2022.08.01
[BAEKJOON_1076] 저항(Python)  (0) 2022.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