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gorithm

[BAEKJOON_1094] 막대기(Python)

by ZZANG BAE 2022. 8. 8.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1094

 

1094번: 막대기

지민이는 길이가 64cm인 막대를 가지고 있다. 어느 날, 그는 길이가 Xcm인 막대가 가지고 싶어졌다. 지민이는 원래 가지고 있던 막대를 더 작은 막대로 자른다음에, 풀로 붙여서 길이가 Xcm인 막대

www.acmicpc.net

[문제]

지민이는 길이가 64cm인 막대를 가지고 있다. 어느 날, 그는 길이가 Xcm인 막대가 가지고 싶어졌다. 지민이는 원래 가지고 있던 막대를 더 작은 막대로 자른다음에, 풀로 붙여서 길이가 Xcm인 막대를 만들려고 한다.

막대를 자르는 가장 쉬운 방법은 절반으로 자르는 것이다. 지민이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막대를 자르려고 한다.

  1. 지민이가 가지고 있는 막대의 길이를 모두 더한다. 처음에는 64cm 막대 하나만 가지고 있다. 이때, 합이 X보다 크다면, 아래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1. 가지고 있는 막대 중 길이가 가장 짧은 것을 절반으로 자른다.
    2. 만약, 위에서 자른 막대의 절반 중 하나를 버리고 남아있는 막대의 길이의 합이 X보다 크거나 같다면, 위에서 자른 막대의 절반 중 하나를 버린다.
  2. 이제, 남아있는 모든 막대를 풀로 붙여서 Xcm를 만든다.

X가 주어졌을 때, 위의 과정을 거친다면, 몇 개의 막대를 풀로 붙여서 Xcm를 만들 수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X가 주어진다. X는 64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문제의 과정을 거친다면, 몇 개의 막대를 풀로 붙여서 Xcm를 만들 수 있는지 출력한다.

[예제입력1]

23

[예제출력1]

4

[예제입력2]

64

[예제출력2]

1

[전략]

  1. 문제의 본질은 숫자를 이진수로 나타냈을 때의 1이 나타나는 횟수이다.
  2. 반복문을 통해서 이진수를 구하는 코드를 짜되, 리스트에 하나씩 집어넣는다.
  3. 위의 값을 for 문을 통해 모두 더하면 원하는 막대기의 개수가 나온다.

[코드]

[공부한 점]

  • 문제의 본질을 수학적으로 파악하면 쉽게 문제를 풀 수 있다.
    • 사실 아직도, bong을 if문을 써서 나누면서 하는 방법은 모르겠다.
    • 논리적 동일성을 이용하는 것의 중요함!
  • 이진수를 만드는 코드를 다시한번 짜봐야겠다.